티스토리 뷰

[주식&경제]STUDY

ESG란 무엇인가?

부자블로그 2022. 10. 27. 12:31

ESG/ESG경영/ESG뜻

 

안녕하세요 부자블로그 입니다. 오늘은 "ESG" 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E : Environment ( 환경 )

S : Social ( 사회 )

G : Governance ( 지배구조 )

ESG란 위 3가지 단어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ESG를 알아야 할까요?

그 이유는 재무적인 성과들로 기업에 투자를 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비재무적인 요소인 ESG를 같이 고려하여 기업에 투자를 하게 된 환경의 변화흐름에 있습니다.

즉,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하는데 있어 기업의 매출성장과 현금흐름만을 보던 시대에서 기업의 ESG 성과까지

같이 보며 투자에 대한 판단을 한다는 것 입니다. 

개인 투자자분들의 입장에서는 사실 기업의 ESG경영성과까지 확인하면서 투자를 하는 분들이

많지 않으실 수 도 있지만, 세계적인 금융기관들은 기업의 ESG성과를 투자를 하는데 있어 많은

참고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ESG 모두 비재무적인 요소로서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맨 앞글자인 E 의 뜻인 Environment ( 환경 ) 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지구는 기후위기 시대입니다. 각 기업들은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 것이 ESG의 E를 잘 해내고자 하는 모습들이고, 실제로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를 받기 힘든 환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투자한 종목 혹은 업종에 좋은 수급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ESG와 반대되는 기업을 선택해선 좋은 수급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투자를 하는데 있어 재무제표와 기업의 뉴스, 보고서 등을 보며 공부를 하지만

ESG경영을 잘 실천하고 있는 기업인지 또한 투자의 고려대상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 같은 경우 상당히 높은 밸류에이션을

적용받고 있는데, 전기차 시장에 대한 미래가 확실하다 보니 그런 점도 있겠지만, ESG의 E에 굉장히 부합하는

사업을 하는 회사란 점 또한, 이 기업의 밸류에이션이 높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기업들은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2102481061

 

친환경 신사업 발굴에 전력투구…ESG·성장 두 토끼 잡는 DL그룹

친환경 신사업 발굴에 전력투구…ESG·성장 두 토끼 잡는 DL그룹, DL그룹

www.hankyung.com

 

그렇기 때문에,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관련된 사업을 하는 기업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위 기사를 보시면 DL이앤씨가 CCUS사업에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CUS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런 기사들을 보신다면, 관련 기업들을 관심종목에 저장해놓고 그 기업에 대해 공부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종목분석 게시판에 관련된 기업을 한 번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상장되어있는 기업들은 복잡한 지배구조 형식을 띄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이 부분도 코리아디스카운트를 받는 여러 원인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굴지의 그룹인 현대차그룹이 가장 유명한 사례일겁니다.

현대차그룹 순환출자 구조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차, 현대글로비스 등이 서로의 지분을 순환출자식으로

가지고 있는 순환출자 구조 입니다. 외국 투자자들은 빨리 현대차의 순환구조를 해결하라고 하지만,

생각만큼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현대차 지분을 가장 많이 들고 있는 현대모비스를 지주사 형태로 바꾸기 위해

시도를 했었지만, 정의선 회장의 현대모비스 지분이 너무 적어 이 순환출자 구조를 해결하는데는 꽤 긴 시간이

필요해보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복잡한 지배구조들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우리나라 시장이 디스카운트되는 요인을 하루 빨리 해결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오늘은 ESG란 무엇인지와 투자를 하는데 있어 왜 ESG라는 비재무적인 요소까지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