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매도 뜻 / 공매도 잔고 / 공매도 금액
안녕하세요 부자블로그 입니다. 주식에 입문하신지 오래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공매도'라는 말은
들어봤는데 공매도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모르실 수 도 있어, 오늘은 간략하게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공매도 ◀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여, 그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향후 주가가 하락하면 다시 그 주식을 사
주식대여자에게 갚음으로서, 시세차액을 챙기는 행위를 말한다.

이렇게만 들으셨을 때 이해가 가지 않으실 수도 있으니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A주식 ☞ 1주당 가격 10,000원
1주당 가격이 10,000원을 하는 A주식이 있습니다. A주식이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공매도세력 K가 있습니다. K는 기관을 통해 A주식 보유자 M에게 A주식 10주를 빌립니다.
그리고 K는 A주식 10주를 시장에 10,000원 이라는 가격에 매도합니다. 이 때, K에게는 A주식 10주 가격인 100,000원이
생깁니다. 그리고 일정한 기간이 흐른 뒤 A주식은 8,000원으로 주가가 하락하였고, K는 A주식 10주를 80,000원에
매수하여 주식대여자인 M에게 10주를 갚습니다. 빌렸던 10주를 그대로 갚았는데도 하락한 주가가격으로 인해
K는 20,000원 이라는 시세차익을 챙깁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주식대여자에게 주식을 빌려준 대가로 일정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하지만, K는 수수료지급금액보다 훨씬 더 큰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설명드리면 아마 이해가 가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위 예시대로라면 M만 주식대여로 인해 손해보는게 아니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보통 주식을 대여해주는 분들은 장기보유의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 대여를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빌려줬던 당시보다 하락한 가격으로 돌려받았다 하더라도 그 주식이 향 후 더 큰 상승을 한다면, 오히려
주식대여수수료까지 벌게 되는 셈입니다.
공매도란 제도가 시장에 있는 이유는 거품이 잔뜩 낀 종목들의 주가를 조절해주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기업의 순이익이나 펀더멘탈에 비해 터무니 없는 고평가를 받는 주식이 시장에 가득하다면, 거품이 빠지는 시기에
엄청난 변동성과 주가의 급락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보게 될 겁니다.
공매도의 순기능의 목적은 건전하지만, 사실 공매도는 개인투자자는 하기 힘든 제도입니다.
외국인과 개인의 공매도 조건에도 실제로 차이가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라는 말이 많습니다.
아래 기사를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07_0002040863&cID=10403&pID=15000
공매도 금지 목소리 내는 개미들…대통령 관저서 집회 예정
[서울=뉴시스]신항섭 기자 = 긴축기조와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국내증시의 하락세가 지속되자 개인투자자들의 공매도 불만이 더욱 커지고 있다
www.newsis.com
그리고 증시가 크게 하락을 했던 시기에 일시적으로 공매도를 폐지하기도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폭락했던 2020년 공매도가 폐지 되었다가 2021년 다시 부활했는데,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에
편입되어있는 종목들만 공매도가 가능하도록 부활했고,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근 2200선 까지 하락한 국내증시에 다시 공매도폐지 얘기가 돌고 있습니다.
시장에선 금융당국이 여기서 한번 더 증시가 레벨다운을 하게 되면, 공매도 폐지와 증안펀드를 투입하여
시장의 하방을 방어해주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럼 네이버에서 공매도 잔고 확인하는 법 알려드리면서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증권에 들어가셔서 공매도 잔고 확인하고 싶으신 종목을 검색하셔야 되는데 저는
국민주식인 삼성전자를 검색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렇게 삼성전자를 검색하시면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쳐놓은 공매도현황을 눌러주세요
이런 화면이 나올겁니다. 가장 우측으로 땡기면 공매도 잔고금액이 나옵니다.
공매도금액이 늘고 있는지 줄고 있는지 추세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공매도 금액이 큰 종목에 호재가 생기면 유독 크게 주가가 급등합니다.
공매도 세력들이 공매도를 상환하기 위해 시장에서 매수를 하기 때문입니다.
'[주식&경제]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투자소득세! 증시폭락 불러올까? (0) | 2022.11.17 |
---|---|
[ 코스피 코스닥 ] 관리종목,상장폐지 요건 및 기준 (0) | 2022.11.13 |
알아두면 좋은 거시경제지표 5가지 (0) | 2022.11.07 |
국내 애플 관련주 대표종목5선!! (0) | 2022.10.31 |
ESG란 무엇인가? (0) | 2022.10.27 |